세력이란 무엇일까?
세력이란? 주가를 임의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을 가진 모든 주체를 의미함
세력의 목적: 매집에는 최대한 싸게 / 매도 시에는 최대한 비싸게 매매하려함.
세력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을까?
크게 2가지
1. 정보에 의한 세력
2. 작전에 의한 세력
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세력은 90%가 작전에 의한 세력이다.
정보에 의한 세력은 공개 정보를 미리 입수하여 선 취매에 의해 시세차익을 얻는 형태이다.
(ex. 이 회사가 삼성에서 인수합병을 한다는가.., 삼성이 로보트 사업을 더욱 활성화한다든가..)
작전에 의한 세력은 대부분 대주주와 짜고 치는 판이다.
아래에서 어떻게 시세차익을 얻는지 다루어 보자
세력은 과연 어떤 주식을 선택하는가?
작전 주의 조건 (재무재표를 확인해봐야하는 이유!)
1. 적은 자본금: 자본금 100억~ 500억원 대의 종목
세력이 주가를 조정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규모의 자본금을 갖고 있게 되면 개인투자자 대비 비중이 높아져 주가 조정이 용이하다.
2. 매물부담감이 적은 종목: 하루 평균 거래량이 5만주 내외의 종목
거래량이 많은 주식의 경우, 변동성이 높으며 세력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다.
3. 잠재적 호재거리: 추후 물량 처분을 위해 예를 들어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신기술이나 신제품 등 회사에 공헌하는 기대이익이 쉽게 산출되는 재료
주식 차트에서 세력주를 확인하는 방법은?
세력은 저점에서 매집하여 고점에서 팔고자 한다.
앞으로 밥그릇 패턴만 기억하면 된다.
1. 개미 투매구간
주가를 하락시켜 개미들의 투매를 유도하여 물량을 가져가려는 것이다.
(ex. '만원에 거래되던 주식이 6천원까지 떨어졌으니 주식 팔아야겠다'라는 생각으로 매도하게 됨, 세력은 매수)
2. 매집구간
2번 구간에서는 세력들이 본격적으로 매집을 시작하게 된다. 기간을 길게 가져가면서 주가가 크게 변하지 않으며 거래량도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 구간에서 골파기 & 매집봉이 출현 가능하다. 매집봉의 경우는 비정상적인 거래량과 윗꼬리가 긴 캔들을 보여주게 된다.
(2번 구간에서 골파기, 매집봉이 있다면 세력의 가능성을 높인다)
1번보다 2번의 길이가 길 경우에 더 큰 힘을 가지고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3. 흔들기 구간
흔들기는 주식 알맹이를 넣고 마구 흔든다고 상상해보자.
세력은 낮은 가격에서 마구 사서 주가를 올리고, 가격이 올라가면 매도해서 가격을 내리게 된다.
개미는 올라간 가격에 다시 사지만 세력은 다시 주가를 떨어뜨린다.
여러번 반복하게 된다면 개인 투자자들은 지치게 되고 세력은 결국 주식을 나가버리는 투자자들의 매물을 얻을 수 있다.
흔들기는 위아래의 변동폭이 크며 틈틈히 평균적인 가격대에서 조금씩 물량을 챙기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곳에서 매수 기회를 잡아야 한다!!!!
> 1, 2번의 구간은 대부분 224일선 아래에 있게 된다. 224일 이평선을 돌파하며 눌리는 자리에서 매수를 해야함
주식 차트는 과거는 볼 수 있지만 미래는 볼 수 없다는 점에서 224일 이평선을 돌파하는 시점이 signal이라 생각하고 관심있게 지켜보아야 한다. 하지만, 세력들이 반드시 224 이평선을 돌파했다고 해서 상승한다는 보장은 없다 (왜냐면 물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또 골짜기를 만들어 주가를 낮출 수 있다)
4. 상승 구간 (털고 나가기)
적당한 뉴스나 찌라시를 이용하여 개인투자자들을 유인하며 세력이 자본을 활용하여 매수를 하여 주가를 올린다. 개인투자자들이 매수세를 보여주게 되며 세력은 모든 물량을 다 털고 나가게 된다. 결국, 그 이후 주가는 폭락하게 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기초- 다우지수, S&P500, 나스닥은 무엇일까 (11) | 2023.06.20 |
---|---|
주식의 기초- 주식 투자하려면 '호가'는 볼 줄 알아야 한다 (20) | 2023.06.20 |
주식의 기초- 주식 캔들을 알아야 매매 타이밍을 정확히 볼 수 있다? (21) | 2023.06.18 |
주식의 기초- 매매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요소 '거래량' (5) | 2023.06.17 |
주식의 기초- 매수 시기를 보려면? MACD를 알자 (3)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