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주식의 기초- 수요, 공급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2편)

주린이대표 2023. 6. 17. 07:23
반응형

수요 곡선의 이동

좌측: 수요이 증가한 경우, 균형 가격이 상승하며 거래량은 상승
우측: 수요이 감소한 경우, 균형 가격이 감소하며 거래량은 감소

 
수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 관련 상품 가격
 > 대체재(substitute)
한 재화가 다른 재화와 비슷한 유용성이 있어서 서로 대신 쓸 수 있는 경우를 대체재(substitute)라고 부른다. 예를들어 수도권에서 대중교통인 지하철이 어떠한 자연재해로 올스톱할 경우, 지하철의 공급은 0이 된다. 그러나 지하철을 대체할 수 있는 재화인 버스가 수도권 전역에 깔려있기 때문에, 지하철의 모든 수요를 버스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다.
 대체재는 서로의 공급량 변화서로의 수요가 변동되는 관계이며, 대체재 하나의 공급이 급감하면, 다른 대체재의 수요가 급등하고, 대체재 하나의 공급이 급증하면, 다른 대체재의 수요가 급감하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다. 공급뿐만 아니라 가격변동에 따라서도 수요가 변동할 수 있다
 
 > 대체재(substitute)가 있는 경우
위의 예시에서 다른 대중 교통 (ex. 버스)와 같은 대체재가 있을 경우 함부로 가격을 인상할 수 없다. 그렇다고 시설투자를 하지 않으면 수요자를 버스 같은 다른 대중교통에게 뺏기므로 열차 증편, 선로 증설 등 더 많은 수요자를 받아들여 이익을 남긴다.
 
> 보완재(complement)가 있는 경우
가장 대표적으로 자동차와 기름의 관계가 있다.
유가가 상승하면, 그만큼 자동차의 수요가 감소하고, 유가가 하락하면 그만큼 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이다. 자동차의 수요가 감소하면, 유가도 하락하는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에, 위의 대체재와 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한 재화의 수요가 상승되면, 다른 재화의 수요가 같이 상승하는 경우를 보완재(complement)라고 부른다.

2. 수요자의 소득 수준
> 수요자의 가처분소득 증가
수요자가 이벤트로 갑작스럽게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이 증가하게 될 경우, 평소에 꿈만 꾸던 재화를 구입할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온다. 이러한 수요자의 증가로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 재화가 정상재인 경우에만 가처분소득 증가 시 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며, 열등재인 경우는 오히려 수요가 감소한다.

> 수요자의 가처분소득 감소
갑작스러운 지출이나, 벌금 등으로 평소보다 가처분소득이 줄어버린 경우, 수요자는 원하던 재화의 구입을 보류하거나, 포기하게 되며 수요의 감소로 이어진다

* 재화가 정상재인 경우에만 가처분소득 감소가 수요감소로 이어지며, 재화가 열등재일 경우 수요가 증가한다)

3. 미래 예상 가격
만약 어떤 상품의 가격이 얼마 후에 올라갈 것이라고 판단한다면 지금 사는 게 더 이득이므로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늘어날 것이다. 반대로 어떤 상품의 가격이 곧 떨어질 것이라고 판단한다면 그 상품을 나중에 사면 더 이득이므로 수요는 감소할 것이다.
 

공급 곡선의 이동

좌측: 공급이 증가한 경우, 균형 가격이 감소하며 거래량은 상승
우측: 공급이 감소한 경우, 균형 가격이 상승하며 거래량은 감소

 
공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1. 수요의 급증: 평소 공급중이던 재화의 수요가 급증할 경우, 공급자는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임시 or 영구적으로 공급 혹은 가격을 올리게 된다.
 
 > 대체재(substitute)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는 지하철이 한 노선밖에 없는데, 그 지역이 신도시로 개발되어 수요가 집중될 경우, 이 지역이 버스조차 안다니는 그 어떤 대체교통수단도 없는 지역이라고 가정하자.
 - 합리적인 공급자라면 가장 먼저 가격을 인상한다.
 - 합리적인 공급자라면, 수요자가 자가용을 타고 출근하는게 더 이익이 되기 직전 시점까지 인상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줄지 않으면, 공급업체는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열차를 증편하거나, 선로를 증설하여 더 많은 수요자를 받아들여 그만큼 이익을 남긴다.
 
 > 대체재(substitute)가 있는 경우
위의 예시에서 다른 대중 교통 (ex. 버스)와 같은 대체재가 있을 경우 함부로 가격을 인상할 수 없다. 그렇다고 시설투자를 하지 않으면 수요자를 버스 같은 다른 대중교통에게 뺏기므로 열차 증편, 선로 증설 등 더 많은 수요자를 받아들여 이익을 남긴다.
 
2. 생산기술의 변화
공급은 혁명적인 기술 발전으로 인해 늘어날 수 있다. 소비자들은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휴대전화와 컴퓨터, 노트북 등이 있으며, 휴대전화만 해도 20세기 후반에는 부자들의 전유물이, 지금은 스마트폰이라는 고가제품도 쉽게 살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3. 공급자의 수
공급자가 많을수록 시장에 물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흔히 말하는 레드 오션을 뜻한다. 반대로, 공급자가 적을수록 시장에 물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높아질 수 있다. (블루오션)
 
4. 감세와 정부의 보조금
직접적인 방법으로 돈을 주는 보조금(subsidy)가 있으며, 간접적인 방법으로 감세(Tax reduction)이 있다. 공급이 늘어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