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작성하다 문득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작전세력은 무엇이고 어떻게 거래량과 자본만으로 주가를 폭등, 폭락 시키는지 말입니다.
기본은 예전에 배웠던 가장 기초인 시장 경제의 원리에 있었습니다!
1. 수요 이론
- 수요는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욕구나 요구를 나타냅니다.
- 수요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낮을수록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가격 탄력성이라고도 합니다.
- 가격이 낮을수록 많은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가격이 높을수록 수요는 감소합니다.
(이는 대부분 소득, 가격 대체품의 가격, 소비자의 선호도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수요량(Quantity demand): 소비자들이 값을 치르고 구입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재화의 양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 다른 조건이 불변일 때 재화의 가격이 상승 시 그 재화의 수요량이 감소하는 법칙
수요곡선(demand curve): 어느 재화의 가격(P)과 수요량(Q)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소득의 변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 정상재의 경우, 수요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정상재(normal good)의 수요 증가하며 수요곡선은 오른쪽으로 평행이동
- 열등재의 경우, 수요자의 소득이 증가할 때 열등재(inferior good)의 수요 감소하며 수요곡선은 왼쪽으로 평행 이동
- 대체재(substitutes)의 경우 한 재화 가격이 하락하면 다른 재화 수요 감소
- 보완재(complements)의 경우 한 재화 가격이 하락하면 다른 재화의 수요 증가
2. 공급 이론
- 공급: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주어진 가격 수준에서 판매하고자 의도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최대 수량
- 공급의 법칙: 다른 조건이 불변일 때, 어느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재화의 공급량이 증가하는 법칙
- 공급 곡선: 어느 재화의 가격(P)와 공급량(Q)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공급곡선 상의 운동과 공급 곡선의 이동
- 공급곡선 상의 운동: 그 재화의 가격 변동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 (그래프 선 내에서의 움직임)
-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 그 재화의 가격이 아닌 다른 변수의 변동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
ex. 요소 가격의 변동, 기술의 변화, 공급자 수의 변화
3. 수요와 공급의 결합
- 시장 가격의 결정: 균형을 이루는 상태이며,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는 상태
공급 과잉과 물량 부족
공급 과잉: 가격이 균형가격보다 높은 경우,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는 상태이다. 공급자들은 가격을 낮춰 판매량을 늘리게 되어 가격이 균형 가격에 수렴하게 된다.
(쉬운말로 비싸게 팔면 상인들은 많이 팔고 싶어하지만 소비자들은 구매하는 양이 적어서 가격 할인을 하게 된다..)
물량 부족: 가격이 균형가격보다 낮은 경우,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는 상태이다. 공급자들은 가격을 높여 수요를 조절하게 되어 가격이 균형 가격에 수렴하게 된다.
(쉬운말로 이벤트 세일 행사를 하면 많은 사람들이 사고자 하니, 수익성을 위해 가격을 더 올림으로써 수요를 줄임)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기초- 매수 시기를 보려면? MACD를 알자 (3) | 2023.06.17 |
---|---|
주식의 기초- 수요, 공급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2편) (4) | 2023.06.17 |
주식의 기초- 주가의 추세를 알고 싶다면? '이동 평균선' (9) | 2023.06.16 |
주식의 기초- RSI + alpha: Divergence (다이버전스) (0) | 2023.06.16 |
주식의 기초- 매수, 매도세가 얼마나 강한지 알고 싶다면? RSI (Relative Strength Index) (0) |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