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주식의 기초- 주가의 추세를 알고 싶다면? '이동 평균선'

주린이대표 2023. 6. 16. 21:14
반응형

이동 평균선 (이평선)

- 설정한 최근 기간동안의 주가를 평균내어 주가의 변동을 그려낸 것

- Moving Average (MA)

 

특징

- 강세 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 평균선 위에서 파동을 거듭하며 상승한다

- 약세 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 평균선 밑에서 파동 운동을 하면서 하락한다.

- 상승하고 있는 이동 평균선을 주가가 하향 돌파할 때는 조만간 반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 하락하고 있는 이동 평균선을 주가가 상향 돌파할 때는 조만간 반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 이동 평균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이동 평균선은 더욱 유연해 진다.

- 주가가 이동 평균선으로부터 지나치게 떨어져 있을 때는 이동 평균선으로 되돌아오는 경향성이 있다

 

정배열 & 역배열

정배열: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위에 위치하는 배열 상태로 상승장에서 주로 나타남

역배열: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 밑에 위치하는 배열 상태로 하락장에서 주로 나타남

 

골든 크로스 & 데드 크로스 > 추세전환의 신호탄

골든 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하는 상황으로 강세 전환의 신호

데드 크로스: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향 돌파하는 상황으로 약세 전환의 신호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간은 5, 20, 60, 120, 200일 선이 있습니다.

1. 5일선은 주식시장이 열리는 1주일 동안의 기간으로 단기 매매선이라고 불립니다.

2. 20일선은 심리선 또는 생명선이라고 부르고 단기적인 시장의 추세를 나타냅니다.

3. 60일선은 중기적인 추세선으로 수급선이라 부르며 조정국면에서 주요 지지선 역할을 한다

4. 120일선은 장기적인 추세선으로 경기선이라고 불린다. 

 

활용 전략

1. 지지/저항 매매

강한 추세가 형성된 장에서는 단기적으로 20일선에서 추세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20일선을 깨고 하방이탈하는 경우 60일 선이 지지선으로 작용하여 단기적인 반등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60일선을 하방이탈하면서 60일 선이 저항으로 작용하며 하락 추세로 전환될 수도 있다.

 

본 예시에서는 20일선을 내려가는 경우도 있지만 60일선이 지지해주어서 다시 되돌아오는 예시를 볼 수 있다.

 

2. 추세전환 매매

하락(상승) 국면에서 5일선과 20일선의 골든크로스가 나온 뒤 최근 한 달간 평균 거래량의 2, 3배 수준으로 거래량을 터뜨린 장대양봉이 60일선을 강하기 돌파하면 강력한 추세전환 신호로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