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주식의 기초 - 볼린저 밴드

주린이대표 2023. 6. 16. 07:42
반응형

볼린저 밴드는 주가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기술적 분석 지표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중심선, 상단선, 하단선으로 구성됩니다. 중심선은 일반적으로 20일 이동 평균선으로 설정되며, 상단선과 하단선은 중심선에서 일정한 표준편차만큼 위아래로 그려집니다.

볼린저 밴드의 너비는 주가의 변동성을 나타냅니다. 볼린저 밴드가 넓으면 주가의 변동성이 높음을 의미하며, 볼린저 밴드가 좁으면 주가의 변동성이 낮음을 의미합니다.

볼린저 밴드 분석에서는 주가가 상단선에 닿으면 과다 팔린 상태로 해석되어 매도 신호로, 주가가 하단선에 닿으면 과다 산 상태로 해석되어 매수 신호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 방법은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볼린저 밴드만 가지고 매매 결정을 내리기에는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볼린저 밴드 공식
중심선: 20일 이동평균선
상한선: 20일 이동평균선 +2x 표준편차
하한선: 20일 이동평균선- 2x 표준편차

볼린저 밴드 이론
1.주가 이동의 95.44퍼센트는 밴드의 상하한선 내에서 움직인다
2. 밴드의 폭은 넓어지고 좁아지는 것을 반복한다 > 주가는 항상 파동을 그리며 나아가는 성질이 있다

볼린저 밴드를 활용한 매매법

1. 가격의 등락폭이 적은 상황(횡보나 박스권)에서 볼린저밴드의 상-하한 폭이 줄어들면 조만간 가격의 커다란 변동성이 보일것임을 암시

2. 밴드의 폭이 좁아져 있는 상태에서 주가가 상승해 밴드의 폭이 넓어지는 시점에서는 '매수' 해야함
(반대로 폭이 넓어지며 주가 하락시 매도해야함)


3. 주가가 상단밴드를 수차례 터치하지만 주가 지표는 약세를 경우나 반대로 하단밴드를 수차례 터치하지만 주가 지표가 약세일 경우 주가 흐름의 '반전'을 예상할 수 있다.

반응형